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만화정보-문하생,어시스트....그리고....원생.
    만화 2010. 10. 27. 14:06

    문하 [門下] -문 밑이라는 말로, 가르침을 받으려고 스승의 집에 드나드는 사람이라는 뜻.[네이버발취]

    -문하생...한마디로 선생집,혹은 작업실에 출퇴근 내지는 숙식을 하며 그림공부를 하는 학생.



    어시스트[assist]-[명사]<운동·오락> 축구·농구·아이스하키 따위에서, 득점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는 선수에게 공을 보내는 일. 또는 그런 선수. ‘도움’으로 순화. [네이버발취]

    -만화가들이 원고제작을 할때 도움을 받는 조력자 내지는 보조원정도.



    원생[院生 ]-‘원(院)’ 자가 붙은 기관이나 학교에서 배우는 사람.
    예를 들면 본원 드림시드 만화학원의 수강생들 정도로 해석 할수가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드림시드 만화작가 양성 해처리 입니다.


    많은 예비 만화가분들 께서 문하생과 어시스트의 차이를 잘 모르시는것 같아 짚어 드리려 합니다.
    약간의 개인적 견해차가 있을수 있으니 그냥 참고 정도만 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하생은 우리나라 만화계 에서 가장 많은 인력을 배출 해낸 교육 시스템입니다.
    일반적으로 "쌩초짜"들이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작가 선생님의 작업실에 들어가 만화의 기초와 원고제작....

    그리고 대인관계[선,후배]를 맺어 만화계에 안정적으로 입문하여 실력을 키운후 일정기간이 지나 실력이
    쌓이면 자작[自作]을 준비하는 작가 지망생들 이며....이들의 역활은 작업실 청소서 부터 원고제작의 파츠별로....

    뒷처리[마무리],배경,인물 펜터치,데상까지 다방면으로 작가선생님에게 어느정도의 신임을 얻었는가와 개인의 실력
    에 따라 자가들의 영역까지도 일을 맏아 제작에 참여하고는 합니다.

    다 그런것은 아니나 전통적으로 문하생들은 해당화실 작가선생님및...선,후배간의 친분이 돈독하여 유사시에 많은
    도움을 주고 받습니다.

    아마 오랜기간을 함께 하다보니 어쩔때는 친가족들 못지않은 대인관계가 성립되나봅니다.
    보통 문하생 기간은 딱히 정해져 있지는 않으나 적게는 몇개월서 부터 많게는 십수년 이상이 걸리기도 합니다.

    장점으로는 착실히 쌓이는 기본기&원고제작의 경험치를 들수 있겠고....단점으로는 자칫 선생의 그림체에 동화되어
    자신만의 색깔이 묻힐수도 있다는것과 경우에 따라 지나치리 만큼 오랜시간을 투자 하여야 한다는 점 입니다.
    보통 약간의 원고료등을 받을수 있어 용돈벌이 정도의 수입이 가능합니다.


    어시스트는 일반적으로 만화작가의 원고제작에 참여하는 내용은 문하생과 같으나 문하생들과는 달리 어시스트
    스스로도 자작준비를 하는 예비작가 또는 프로작가들이 일정 원고료를 받고 해당화실 프로작가의 원고제작에 참여하는
    형태입니다.그런 이유로 문하생들보다는 나이나 경력이 많은편이며 언제든지 자신의 원고진행에 따라 해당화실
    업무를 관둘수도 있기에 팀원 간의 인간적 측면 보다는 실력을 가장 우선으로 채용조건에 넣고는 합니다.

    이런 이유로 본문을 읽고 계신분들 중에 실력과 경험이 없는 초보들께서는 나도 어시스트부터 하면 않되나?
    하는 생각을 갖을수는 있어도 실력이 부족한 어시스트를 채용하는 프로 작가는 없음을 기억해 주십시요.

    어시스트활동은 프로작가가 비용을 지불하여 프로를 고용하는것을 말합니다.

    간혹 립서비스로 초짜들에게도 어시스트 아무개라고 화실선생들이 말하는 경우가 있는대....호칭상 듣기좋은
    립서비스일뿐....실력과 경력이 업는 어시스트는 결국....문하생입니다.

    보통의 경우는 이들또한 문하생 생활을 통해 기본기를 익힌후 자작을 준비하는동안 아르바이트 계념에서 어시스트
    활동을 병행하고는합니다.

    약속된 날짜에 작업실에 나오거나 자택에서 근무하는 일종의 프리랜서이며 해당 화실작가에게 일정 원고료를 받으며
    원고제작에 참여하는 한편 가끔 본인의 준비중인 원고를 해당화실 프로작가에게 감수받으며 연재를 준비하는
    예비작가군들입니다. 이때 주로 익히는것은 그림수업보다는 화실운영과 원고제작의 노하우적인 작가수업이 주를 이룹니다.

    일반적으로 어시스트를 채용하는 화실과 문하생을 채용하는화실은 원고제작에 큰차이가 있다기 보다는 해당화실의
    작가의 취향과 경제력으로 인해 갈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자신만의 시스템과 스텝을 24시간 준비시키고픈 작가는
    비용이 좀 많이들고 신경쓸것이 많기는 하지만 오로지 자신의 원고에만 참여하는 문하생들이 오랜시간 호흡을
    맞추는 관계로 그림적 발전과 체계적인 분업을 통해 일의 효율을 높이고자 선호하는 시스템입니다.
    그러다보니 규모가 조금 있거나 캐리어가 조금 있는 기성작가진 들이 선호합니다.

    어시스트 시스템은 규모가 조금 작거나 이름이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아 문하생구하기가 쉽지않거나 경제적으로
    숙식을 해결해줄 만큼의 경제력이 부족할때,혹은 경제력과 인기가 있어 문하생은 구할수 있으나 혼자서 작업하는것을
    선호하여 원고 마감이 다가오는 시기에만 연락을 하여 원고제작의 도움을 받는 신인작가진들이 선호하는 시스템입니다.

    필요할때에만 어시스트들을 통해 원고를 제작하니 화실운영비는 상당부분 절감할수 있으나 장기간의 채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황에 따라 어시스트가 자주 바뀌는 관계로 원고의 그림적 퀄리티가 들숙 날숙하는 단점과 경우에 따라 어시스트 섭외에
    실폐라도 하는날이면 원고마감에 크나큰 장애의 발생이 흠 이라면 흠입니다.


    원생....현재 한국에 있는 출판전문 학원은 본원 "드림시드"가 유일하니 본원원생들 기준에서는....
    [만약 제가 잘못알고 있는것이라면 자유게시판에 글 남겨주십시요 그 학원교육커리큘럼과 강사진확인후 정중히 사과의
    글을 남기겠습니다.]

    우선 문하생[기본기,그림수업]과 어시스트[원고제작,작가수업]의 장점을 현역 프로작가들에게 교육받는만큼 프로화실에서
    배울수있는 과정을 집중적으로 교육받으니 그 교육기간은 문하생과 어시스트들에 비해서도 놀라울 정도로 빠른 교육성과
    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신의 원고를 직접 만들며 제작 노하우를 강사진[프로작가]이 교육해 주니 만큼 많은 시간이 절감되는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겠지요.허나 단점으로는 학원수강료의 지출과 기존 프로화실에서 배우는 화실경험이 없음 으로 해서 나중에 본인들 스스로
    화실을 꾸려나갈때 화실운영의 노하우가 부족하다 정도 입니다.

    아무리 짧은시간내에 그림적성장을 가져온다하여도 5~6개월만에 이룰수있는것이 아니기에 많은 경제적 출혈을 감안하여야 하며 나중에 화실운영을 위해서라도 일정기간 본원 드림시드 객원강사님들의 작업실에서 일정기간 화실체험을 해야 한다는점이죠.

    이제....문하생,어시스트....드림시드원생....각자의 장단점과 차이가 조금은 이해 되셨나요?

    다음에 더 유익한 정보로 다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